반응형




ntp 패키지 설치

# yum search ntp

# yum install -y ntp


ntp.conf에 time.bora.net 추가

# vi /etc/ntp.conf


#server 0.centos.pool.ntp.org 

#server 1.centos.pool.ntp.org 

#server 2.centos.pool.ntp.org 

server -4 time.bora.net


zone 파일 교체

# cp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systemctl 에 ntp 활성화 및 시작

# systemctl enable ntpd

# systemctl start ntpd


시간 확인

# date




반응형
반응형




기본 Redhat 계열을 선호하는 지극히 개인적인 이유로 CentOS를 설치했다.

64GB SD카드를 꽂았으니 그에 맞게 Resize를 할 필요가 있는데 CentOS를 설치할 경우 "/root/' 경로에 "README"파일이 있는데아래와 같이 할 경우 automatically resize partition을 한다고 나와잇다.


touch /.rootfs-repartition

systemctl reboot



systemctl reboot을 하는 순간 이미지를 새로 설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 오는데 

예전같았으면 이거 왜이래 하고 성질을 내겠지만 일을 하다보니 "automatic"이란 단어를 지원하기 위한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게 된다. 저 파일을 바라보는 놈이 어떤놈인지 나중에 한번 뒤져봐야겠다.


parted를 통해 마지막 파티션을 삭제하고 남은 용량을 사용하게 하여 다시 64GB를 모두 인식하도록 수정하였다.


# parted /dev/mmcblk0

# p                                         확인

# rm 3                                     마지막 파티션 삭제

# p                                        확인

# mkpart primary 852 61.9G            파티션 2부터 남은 용량으로 새 파티션 생성

# p                                        확인

# quit                                     종료



# reboot                                  시스템 재시작



# df -h                                  확장 안됨 확인

# fdisk -l /dev/mmcblk0               fdisk로 변경한 파티션 생성 확인

# resize2fs /dev/mmcblk0p3          resize2fs로 파일시스템 확장

# df -h                                  정상 확장 정보 확인



반응형
반응형




NTP를 설치하고 ntpd를 아무리 재시작하고 기다려도 계속 새벽 시간에서 변경이 되지 않는다. 

ntp.conf에 다른 설정을 모두 지워도 시간이 변경되지 않아 ntpq -q로 query를 주어보아도 Pear List를 확인해봐도 bora.time.net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이 잘 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remote           refid      st t when poll reach   delay   offset  jitter

==============================================================================

*time.bora.net   90.1.14.51       2 u   66   64    1    4.468  -10.283   0.001


왜 이럴까 하다고 혹시 지역 설정이 제대로 안되면 다른 지역의 설정을 가져오는 거 아닐까 해서 시간으로 확인을 해보니 정확하게 뉴욕 워싱턴과 일치 했다. 한국으로 설정이 되어있지 않고 워싱턴으로 설정 되어있으니 얘는 제대로 동작했는데 나만 왜안되지 이러고 있었구나...


매번 지역은 GUI로 설치하면서 그냥 클릭하고 넘어가서 제대로 몰랐는데 이번엔 GUI를 사용하지 않았으니 이런 실수가 있었나보다. 제대로 서울로 설정해주자.


/etc/localtime을 backup으로 보관해두자.

# mv /etc/localtime /etc/localtime.bak


/usr/share/zoneinfo 위치에 지역별 폴더가 있고 그 지역 폴더 안에 도시 정보가 있다. 

서울로 설정하니 Seoul이 정상적으로 있는지 확인한 후 이 파일을 /etc/localtime으로 변경해준다.

# cp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재 적용하여 ntp를 다시 적용하기 위해 ntpd를 restart해준다.

# service ntpd restart


date 명령어로 제대로 현재 시간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 date


반응형
반응형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dwarf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readelf --debug-dump=info <binary> | grep -A 2 'Compilation Unit @'


실행 결과 :  


--

  Compilation Unit @ offset 0xccfed:

   Length:        0xc1fd (32-bit)

   Version:       4

--

  Compilation Unit @ offset 0xd91ee:

   Length:        0x43e (32-bit)

   Version:       4

--

  Compilation Unit @ offset 0xd9630:

   Length:        0x50a7 (32-bit)

   Version:       4

--

  Compilation Unit @ offset 0xde6db:

   Length:        0x348e (32-bit)

   Version:       4


반응형
반응형




아래의 포스팅에 이어지는 부분인다. LCD 드라이버 인식을 못한 사람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라즈베리파이] 3.5 inch TFT LCD 인식시키기...http://onestepcloser.tistory.com/123



 1. Calibration을 위한 패키지 설치 및 xinput_calibrator 설치


 Calibration을 하기 위해 아래의 패키지 들이 필요하다. X를 실행시키면서 별도의 Calibration을 실행해서 해줘야 할 것 같았는데, 아래의 방법대로 끝내면 Pi를 재 시작할 때에 Calibration 화면을 통해 설정 할 수 있다.


pi@raspberrypi ~ $ sudo apt-get install libtool libx11-dev xinput autoconf libx11-dev libxi-dev x11proto-input-dev -y
pi@raspberrypi ~ $ git clone https://github.com/tias/xinput_calibrator
pi@raspberrypi ~ $ cd xinput_calibrator/
pi@raspberrypi ~ $ ./autogen.sh
pi@raspberrypi ~ $ make
pi@raspberrypi ~ $ sudo make install



 2. Calibration Script Download 및 Setup


pi@raspberrypi ~ $ cd ~
pi@raspberrypi ~ $ wget http://ozzmaker.com/piscreen/xinput_calibrator_pointercal.sh
pi@raspberrypi ~ $ sudo cp ~/xinput_calibrator_pointercal.sh /etc/X11/Xsession.d/xinput_calibrator_pointercal.sh
pi@raspberrypi ~ $ sudo vi /etc/xdg/lxsession/LXDE/autostart


 3. X Window 실행 


 아래와 같이 X Window를 실행 시키면 LCD에 Pi X가 실행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ㅣ.

 아래와 같이 X가 실행되지 않을 경우 "99-fbturbo.conf"을 확인해 본다.


pi@raspberrypi ~ $ FRAMEBUFFER=/dev/fb1 startx



 4. Boot시 자동적으로 PiScreen로 X Window를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


 간단히 rc.local에 starx를 실행하게끔 실행하면 끝!


pi@raspberrypi ~ $ sudo nano /etc/rc.local


 rc.local에 아래 문장을 exit 하기 전에 실행하게끔 추가해 준다.


 su -l pi -c "env FRAMEBUFFER=/dev/fb1 startx &"


 5. Calibration


 Pi를 Reboot하면 Calibration을 할 수 있다. Calibration을 하지 않으면 좌표가 정확하지 않을 뿐더러 드래그의 방향성 또한 제대로 설정되지 않아 엉망이다. Reboot하여 Calibration을 마친뒤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X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 출처 : http://ozzmaker.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