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 드립 테이블을 배워볼겸 하며 만들어보겠다고 스케치업으로 만든 드립테이블 설계에 관한 포스팅을 한 적이 있다.(관련 포스트 : http://onestepcloser.tistory.com/82)제일 크게 다른점은 장부로 연결을 하려 했지만, 단순히 도미노로 연결을 하게 되었다. 당시 포스팅했던 설개는 아래에 있는 사진과 같다.



 나무의 선택은 에어로 프레스를 사용하려면 탄탄한 나무를 사용해야 할것 같아서 애쉬로 선택하였으며 두께도 넉넉히 할 수 있도록 30mm로 하였다. 덕분에 탄탄한 결과물을 가질 수 있었지만,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 탄탄하고 두꺼운 나무를 조그만한 것을 이리 깎고 저리 깎는 정교한 작업에는 역시 무리가 있었던 것 같다.


 결국 드립 테이블을 만들기 시작한지 몇시간 되지 않아서 구멍을 내던 트리머는 내손을 향해 튕겨 나왔고 너무 순식간이라 피하지 못한 나의 왼손의 두 손가락의 살이 갈리거나 찢어졌으며, 일부 근육은 잘려 나가는 부상이 발생했다... 그렇다 피를 먹구 완성된 이녀석 아마 내가 무덤을 갈때 까지 아마 잃어버리기 힘들 것 같다.




 위의 사진이 사건이 발생할 때의 사진이다. 조금씩 깎아나갔어야 했는데 2번만에 구멍을 뚫으려다가 트리머는 나무를 깎지 못하고 태우다가 옹이를 시작으로 나무를 타고 내손으로 날라왔다... 이 사진은 나무질을 배우면서 매번 나는 조심해야 겠다는 교훈으로 항상 가지고 있으리라...




 퇴원하지마자 목공방의 실장님의 도움으로 위와 같이 상판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트리머로 구멍을 끝까지 내지는 못했고, 직쏘로 근접까지 갈아내고, 살짝 마무리만 트리머를 사용하였고, 클래버를 사용하기 위한 각 홈은 드릴로 구멍을 낸 후 몇시간에 걸쳐 끌로 깎아 냈다. 나중에 다 깎고 나니 도미노로 손쉽게 깎아내면 더 이쁘고 깔끔하고 더 편리하게 깎을 수 있는걸 왜 난 끌로 몇시간동안 지저분하게 깎아냈을까...


 마지막 집성 단계... 각 연결부는  도미노 연결을 하였으며, 수성 바니쉬로 마감을 하였다.



  완성된 결과물... 실리콘으로 드리퍼가 열을 뺏어가기 위한 보호 실리콘과 실리콘 깔데기로 마무리를 하였다. 하지만 문제가... 물받이 동파이프와 이 깔데기가 궁합이 안맞다... 열심히 파냈으나... 파이프를 사용할지 못할지도 모르겠다... 다른 깔데기를 덧대거나 몇번 더 시도를 해봐야겠다.



 드리퍼를 칼리타/하리오 드리퍼로 테스트를 하였고, 클래버로 돌리면서 확인을 해보았는데 뿌듯할 정도로 잘 맞아 떨어졌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하판의 물받이가 그리 만족스럽게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 그 부분이 너무 아쉽다.


 처음에는 이런 모습의 드립테이블을 구하기가 어렵고 예약도 하였으나 구매가 진행될 분위기가 전혀 조성이 안되기에 간단한 기술도 먼저 조그만한것을 하면서 배워볼겸 해서 시작을 하였으나, 생각이 짧았다. 정말 고난이도의 작업이 되었으며, 부상으로 병원까지 입원할 줄은 몰랐다. 하지만 만들고 나니 이게 뭐라고...하는 생각도 들었으나 곧이어 뿌듯함이 들었다. 내가 만들었다고 생각하니 마음은 뿌듯했다(사실 내가 100%만든건 아니다. 많은 부분을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았다.... 공방 사람들께 고맙다는 말을 하고 싶다 ㅠ_ㅠ) .


 이걸 완성하기 2주전... 스텐리스의 고 품질의 드립 테이블의 공구가 우연찮게 시작되어서 구매를 하였다. 이후 수령시 포스팅을 하겠지만, 아마 이 녀석 보다는 그 드립테이블을 더 쓰게 될 것 같다. 하지만 이 녀석은 항상 내 곁에서 있으면서 내가 무언가를 할때마다 초심을 기억하고, 항상 정신 놓지 않고, 집중하라는 교육을 나에게 줄 것같다...



반응형
반응형








 손을 다치는 바람에 목공방에서 몇만원 안하는 재료로 몇달째 진행중이다. 슬슬 마감이 완성되가는 지금 다른걸 만들어야 하는데, 우선 어머니께서 가지고 싶다 하셨던 장농 옆에 놓을 서랍장을 만들어 보려 한다.

 요구사항은 사이즈와 뒷편의 콘센트와 보일러, 전등 스위치를 건드리지 않는 한 물건을 담고 놓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 이거 저거 그려봐서 아래와 같은 밑그림이 그려졌다.

 총 두개를 그렸지만, 아마 왼쪽으로 최종 만들게 되지 않을까... 두개의 기준은 별 차이는 서랍 하부의 연결 부분이 전부...



 색은 투톤으로 하기는 했지만, 사실 한가지 종류의 홍송으로만 만들게 될 것 같다.

 기본은 바니쉬로만 마감하고,  짙은 색은 좀 이번에는 색을 칠해볼까... 생각중...



 사이즈를 맞추면서 어머니가 원하는 것을 하려고 하니, 이 디자인 저 디자인 몇개 나왓는데 다 지우고 이거 하나 남았다.

 그래도 그럭 저럭 쓸만한게 나온듯... 아마 재단부터 시작은 다음주가 되지 않을까... 하지만 역시나 그렇듯 회사 일정 및 이런 저런거에 따라 더 늦어질 수도 있는... 그런 위험은 여전히 있다.






반응형
반응형









 더치 기구 중에 디자인이 가장 괜찮고, 몇몇가지 위생적으로 좋은 부분이 있어서 구입한 띠아모 더치기구 1L기구에 대한 약 1년여간의 사용 후기를 남긴다. 사진은 전반적으로 구입을 했을 때의 사진이므로 깨끗한데, 지금도 비교적 깨끗한 편... 오래 쓴다고 지저분해 지지는 않는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전반적인 장점

 1. 위생적인 면 : 호수를 사용하거나 PVC를 사용하는 구간이 없어서 위생적으로 깔끔.

                        구멍이 다 넓어서 청소할때 솔이 잘 들어가서 청소가 용이함.

 2. 디자인적인 면 : 디자인이 블링블링하고 깔끔하며 정말 이쁨...

                          만약 집의 아내님에게 허락을 받아야하면, 상품을 먼저 보여주면 디자인에서 50점 먹고 들어갈듯...


전반적인 단점

1. 용량만큼 추출 불가 : 1L 더치 기구임에도 불구하고, 1L를 뽑을 수 없다.

                                 물은 1L를 넣을 수 있고, 1L를 담을 수 있지만 원두가 최대 70g정도 밖에 담지를 못한다.

2. 위험하고, 깨지기 쉬움 : 금이 쉽게 가고, 일단 유리가 얇아서 깨지기 쉽다.

                                    보통 유리제품 특성상 깨질경우 A/S가 불가하며, 개별 부품을 구입해야 한다.

                     






 물이 흐르는 모든 부분은 유리 , 실리콘, 스텐리스 등으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모든 부품은 구석 구석 청소가 용이하다.

 분해, 조립이 쉬우며 물막힘이 적은편이지만 종종 물막힘현상이 있는편이긴하다. 이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물을 담을때 다량의 얼음을 넣어주거나, 위생적으로 소독한 실을 넣어주는 것도 방법이나, 얼음을 넣는 것은 얼음이 떨어지며 물탱크가 깨질 위험이 있고, 실을 넣을 경우 내부에서 엉켜서 끊어지면 뺴기가 어렵다.

 그냥 물이 막히나 안막히나 주기적으로 확인을 하는 것이 좋으며, 물이 떨어지는 간격이 너무 길지 않는 이상 쉽게 막히지는 않는다.








  약간의 미분이 떨어지는 것이 싫을 경우 워터 드립 세트용 필터를 구매를 하는 것도 좋으나, 혹시 미리 구매가 안되었을 경우 위와 같이 드립 필터를 동그랗게 잘라서 넣어도 괜찮다. 사용한 필터는 버릴 것이 아니라, 잘 씻어두었다가 사용전에 한번 끓여서 재사용 가능하다.



 사용 예이나... 사실 위에는 처음 샀을때 찍은 사진이라 저렇게 가득 채웠고... 저렇게 채우면 원두가 물을 머금으며 커피가 넘쳐서 흐르게 된다. 적정량은 50~70g정도의 원두를 담을 수 있는데, 이 띠아모 제품의 최대 단점이다. 이 단점으로 인해 사실 현재 이 제품을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다.

 보통 1L 추출시에는 최소 100g의 원두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 제품을 사용하여 추출시 너무 묽어서 다른 제품으로 현재 더치를 내리고 있는데 현재 1L추출하기 위해서 150g~170g의 원두를 사용하나, 이 제품은 1L를 추출하는 모델이지만 원두가 100g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최대 단점이 있다.

 템퍼로 꾹꾹 누르고 가스를 완전히 빼 버릴경우 100g의 원두를 담아 추출할 수 있지만, 개인적인 취향에 맞지 않으므로 그냥 사용하지 않고 멋으로 놓고 있다. 참 여러모로 잘 만들어진 더치 기구지만,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처음으로 산 더치기구... 처음이란 단어 때문에 팔지 못하고 현재 그냥 디자인용으로 가지고 있지만, 더치가 급하게 필요할때에는 500ml 추출 용도로 사용은 하고 있다. 또한 가격도 저가 모델도 아닌데 유리가 너무 얇지 않나..하는 안타까움도 있다. 좀 유리가 두꺼운 내열유리가 사용되고, 원두통이 150g정도만 담을 수 있다면 정말 더 없이 좋았을 텐데, 국내 회사도 아니고 대만회사에 한국지사도 없는 것 같아 아쉽다.




반응형
반응형









어느날 부터 윈도우에서 아이콘들의 미리보기가 안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실 핸드폰이나. DSLR의 사진을 옮길때에는 상당히 유용한 기능인데 안되서 너무 불편함을 느꼈다.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한 설정을 찾아보니 아래의 설정이 Enable된 것을 확인하였다.


< 윈도우 7기준 >

 제어판 - 폴더옵션 - 보기(탭) - 아이콘은 항상 표시하고 미리보기는 표시하지 않음(Checkbox)




위의 Checkbox를 해제하고, 확인을 하니 다시 잘 나온다.


Enable한 기억은 없고, 왜 이거 갑자기 이렇게 되었지..언제 부터이지 생각을 해보니,

백신(V3 Lite)을 설치한 이후로 부터 이렇게 된 것같다.


백신은 왜 이 항목을 Enable했을까...? 혹시나 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 부분에 취약점이 있었다.

윈도우 그래픽 렌더링 엔진 취약점(CVE-2010-3970) - 그래픽 랜더링 엔진의 취약점으로 원격 코드 실행이 되는 취약점이 있었다는 것,

MS업데이트는 2011년도 긴급 보안 패치로 이미 패치(MS11-006)가 이루어 진 부분이니 체크 해제하고 사용하자~


하지만 미리보기를 보여준 다는 것은 얼마든지 다른 취약점으로 보안에 위협이 되는 일이 생길지 모르니,

불안한 분들은 이미 보안패치가 끝났다는게 모든 취약점이 해결되었다는 것은 아니니 해당 기능을 끄는 것도 괜찮을 듯~



반응형
반응형








 거실에 약간의 공허함을 달래줄 좌탁...사실 커피 드립 테이블을 만들다 다쳤으니 다음번에는 구멍 최대한 안뚫고, 미세한 작업이 적되 크기도 너무 크지않은 것을 생각해보다가 헤펠레 영통점 사장님의 좌탁이 생각나서 그려보았다. 사장님의 좌탁은 정말 이뻣는데 나도 그렇게 나올수 있을까 걱정된다. 재질은 물푸레 나무와 미송 나무 혹은 레드파인나무를 고려하고 있다.


언급한 좌탁은 다음 링크(http://1junny.blog.me/110122044742)에서확인 하길 바란다.

 혹시 목공을 처음 시작하거나 어떤걸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방문해 보기를 권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