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P3 파일을 다루다 보면 인코딩이 안맞아서 글씨가 깨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이럴 경우 MP3TAG와 같은 도구로 태그의 인코딩을 변경해주면 한글 또한 정상적으로 나오게 할 수 있다.


http://www.mp3tag.de/en/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다운로드 해서 설치 후(한글이 지원되니 한글로 설치 하도록 하자), 인코딩을 변경할 파일들을 Drag N Drop으로 화면에 위치시킨다. 그다음 옵션 > 태그 > Mpeg에서 쓰기에 UTF-8로 설정을 한다음 저장한 후 Drag N Drop한 모든 MP3파일들을 Ctrl + A로 모두 선택 후 저장(Ctrl + S)을 하면 끝난다. 





반응형
반응형









 프록시 패킷 덤프를 볼 일이 있어서 프록시 서버 리스트를 볼 수 있는 사이트를 찾았는데 아래 사이트가 포트 정보 부터 Response/Transfer 정보 및 SSL/국가 별 정렬이 가능한 편리한 사이트인것 같다. 

http://www.freeproxylists.net


프록시를 설정을 할 댸에는 절대 신뢰 가능한 사이트가 아닐 수 있다는 것에 대하여 주의를 해야 하며, 위의 정보들이 정확치 않을 수 있어, 정상적으로 사용이 안될 경우 다른 프록시 서버를 이용을 하는 등 여러번 시도를 해야 한다.


이 이외에도 욉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는 아래와 같은 사이트들이 있다. 설정 없이 바로 접근이 필요할 때에는 아래 사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http://www.hidemyass.com/




 크롬에서는 확장 어플을 통해서 프록시를 위한 어플을 설치 후에 사용이 가능하다. 몇개 사용해 보지 않았지만, Proxy Switchy라는 어플을 설치 했으며, 프록시 별 설정을 따로 저장할 수 있고, 접근할 때 마다 저장한 각 다른 프록시 서버로 연결 가능하다. 또한 모든 Protocol에 대하여 프록시 서버 접근이 가능하므로 나름 쓸모 있다.

 하지만 알아둬야 하는 점은 크롬에서의 저장한 프록시 서버에 대한 설정 방법은 Explorer에서의 인터넷 옵션을 통해서 변경되는 내용과 동일하므로 크롬에서의 저장 후 인터넷 옵션을 보면 동일한 설정으로 저장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설정 저장한 내용이 크롬만의 HTTP 컨넥션의 설정이 아니므로 현재 작업중인 다른 브라우져에 영향이 간다는 것을 생각을 해두어야 한다.


Explorer에서는 간단히 인터넷 옵션 > 연결 > LAN 설정 > 프록시 서버 > (체크 박스 On) > 고급 > (모든 프로토콜 체크 박스 on : 필요 없을 경우 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 주소, 포트 설정 으로 쉽게 설정이 가능하지만 설정/해제 할 때마다 옵션을 찾아 가야 한다는 것이 귀찮다.             










반응형
반응형







 linux에서 vim으로 코딩할때에 Macro,  변수, 함수 등을 보기 편하게 나타내 주는 Tag List라는 VIm Plugin이 있다. 상당히 편해서 주로 사용하는데 집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vim을 설치하고, tag list plugin을 다운 받아서 세팅해 놨다. Tag List를 다운받는 곳은 아래와 같다.

http://vim.sourceforge.net/scripts/script.php?script_id=273



 위에서 Tag List 압축파일을 다운받고, 압축을 풀면 plugin 폴더와 doc폴더가 있다. 이 두 폴더를 .vim 안에 압축을 풀어준다.

.

├── doc
│   └── taglist.txt
└── plugin

    └── taglist.vim


2 directories, 2 files




실행방법은 vim을 실행 후에 명령어 모드(:)로 아래와 같이 실행하면 된다.

:Tlist



하.지.만... 처음 실행을 하면 vim이 실행되기 전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Taglist: Exuberant ctags (http://ctags.sf.net) not found in PATH. Plugin is not loaded.


 

위와 같은 에러는 Tag List는 Ctags를 이용하는데 Ctag가 설치되지 않아서 Tlist Plugin이 Load되지 않은 것이다.

http://ctags.sf.net에서 Ctags를 설치한 후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된다.



반응형
반응형








 현재 CentOS를 사용중인데, dns server를 resolving 시키려고, /etc/resolv.conf에 아래와 같이 추가하였다.

nameserver 8.8.8.8



그리곤 service network restart를 했는데도 dns server가 resoved되지 않아 다시 /etc/resolv.conf를 확인하려 들어가니, 초기화가 다시 되어있었다. 문법상 오류가 있어서 초기화 되었나 싶어서 "nameserver=8.8.8.8"등 이리 저리 고쳐서 다시 넣어봤지만 계속 초기화 되었다. 이상해서 resolv.conf의 주석 전문을 확인하였더니 아래와 같이 되어있었다.

# Generated by NetworkManager



# No nameservers found; try putting DNS servers into your

# ifcfg files in /etc/sysconfig/network-scripts like so:

#

# DNS1=xxx.xxx.xxx.xxx

# DNS2=xxx.xxx.xxx.xxx

# DOMAIN=lab.foo.com bar.foo.com



중요한 부분만 보자면 아래와 같다.

nameserver를 찾지 못했음; DNS서버를 /etc/sysconfig/network-scripts/의 ifcfg파일에 아래와 같이 넣으시오;



예전에는 /etc/resolv.conf를 수정해서 service network restart만 하면 되었던거같은데, 우선 주석과 같이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을 수정하여 아래와 같이 변경한 후 service network restart를 해보았다.

DEVICE=eth0

IPADDR=192.168.10.110

NETMASK=255.255.255.0

NETWORK=192.168.10.0

DNS1=8.8.8.8

# If you're having problems with gated making 127.0.0.0/8 a martian,

# you can change this to something else (255.255.255.255, for example)

BROADCAST=192.168.10.255

GATEWAY=192.168.10.1

ONBOOT=yes

NAME=eth0




service network restart 후 /etfc/resolv.conf를 확인하니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다.

# Generated by NetworkManager

nameserver 8.8.8.8



사실 /etc/resolv.conf를 수정 후에 service network를 restart할 필요없이 바로 사용 가능하다. 그래서 마치 /etc/resolv.conf에 nameserver 수정 후 바로 사용하면 dns server를 이용 가능하다. 

하지만 리부팅 등 network 스크립트가 한번 읽힌 후에는 초기화가 된다는 점을 알아두어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처음 리눅스가 부팅할 때에 시작하는 프로세스는 init이라는 프로세스이며, 이 init이라는 프로세스가 RUN LEVEL에 따라서 각 다음 프로세스를 실행 시키게 된다. 즉 최상위 프로세스는 init이 된다. 그리고 각 RUN LEVEL에 따른 설정은 "/etc/rc.d/rc[RUNLEVEL].d" 안에 나열된 데몬들을 각 실행 순서에 따라 실행 시키게 된다. pstree 명령어로 각 프로세스[데몬]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예)

init─┬─NetworkManager─┬─dhclient

     │                └─{NetworkManager}

     ├─acpid

     ├─anacron

     ├─atd

     ├─auditd───{auditd}

     ├─automount───4*[{automount}]

     ├─avahi-daemon───avahi-daemon

     ├─bonobo-activati───{bonobo-activat}

     ├─console-kit-dae───63*[{console-kit-da}]

     ├─crond

     ├─cupsd

     ├─2*[dbus-daemon───{dbus-daemon}]

     ├─dbus-launch

     ├─devkit-power-da

     ├─fcoemon

     ├─gconfd-2

     ├─gdm-binary───gdm-simple-slav─┬─Xorg

     │                              ├─gdm-session-wor

     │                              └─gnome-session─┬─at-spi-registry

     │                                              ├─gdm-simple-gree

     │                                              ├─gnome-power-man

     │                                              ├─metacity

     │                                              ├─polkit-gnome-au

     │                                              └─{gnome-session}

     ├─gnome-settings-───{gnome-settings}

     ├─gvfsd

     ├─hald───hald-runner─┬─hald-addon-acpi

     │                    └─hald-addon-inpu

     ├─lldpad

     ├─master─┬─pickup

     │        └─qmgr

     ├─5*[mingetty]

     ├─modem-manager

     ├─pcscd───{pcscd}

     ├─polkitd

     ├─pulseaudio───2*[{pulseaudio}]

     ├─rpc.idmapd

     ├─rpc.statd

     ├─rpcbind

     ├─rsyslogd───3*[{rsyslogd}]

     ├─rtkit-daemon───2*[{rtkit-daemon}]

     ├─sshd───sshd───bash───pstree

     ├─udevd───2*[udevd]

     └─wpa_supplicant




 각각의 폴더의 이름은 시작시키는 프로세스의 특성과 실행 우선순위와 이름을 나타내는데 형식은 다음과 같다.

[S,K]{숫자}{데몬이름}

 S 로시작하는 링크 파일은 부팅시 시작하는 Start Script Link File이다.

 K 로 시작하는 링크 파일은 부팅시 시작하지 않는  Kill Script Link File이다.


 각 스크립트들은 /etc/init.d/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 부트레벨에 따른 on/off 설정은 chkconfig로 설정 할 수 있다.

 예) chkconfig --level 345 sshd on


 

각 런레벨에 대한 특징들은 다음과 같으며 /etc/inittab에 주석으로 설명되어 있다.

0 - halt(시스템 종료 : 초기 기본 설정으로 사용하지 말것)

1 - Single User Mode

2 - Multiuser, without NFS( RUN LEVEL 3과 동일하지만 networking을 사용하지 않음)

3 - Full Multiuser Mode (Networking을 사용)

4 - unused

5 - X11 

6 - reboot (시스템 재시작 : 초기 기본 설정으로 사용하지 말것


런레벨을 변경하려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간단하게 병경 가능하다

# telinit 3



 위와 같은 변경 방법은 시스템이 재시작된 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매 부팅마다 동일한 런레벨을 가지고 싶을 경우 /etc/inittab에 RUN LEVEL을 변경해주면 된다.

 아래 내용은 /etc/inittab의 내용이며 <변경될 부분>에 설정하고자 하는 런레벨을 설정하면 된다.

# inittab is only used by upstart for the default runlevel.

#

# ADDING OTHER CONFIGURATION HERE WILL HAVE NO EFFECT ON YOUR SYSTEM.

#

# System initialization is started by /etc/init/rcS.conf

#

# Individual runlevels are started by /etc/init/rc.conf

#

# Ctrl-Alt-Delete is handled by /etc/init/control-alt-delete.conf

#

# Terminal gettys are handled by /etc/init/tty.conf and /etc/init/serial.conf,

# with configuration in /etc/sysconfig/init.

#

# For information on how to write upstart event handlers, or how

# upstart works, see init(5), init(8), and initctl(8).

#

# Default runlevel. The runlevels used are:

#   0 - hal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   1 - Single user mode

#   2 - Multiuser, without NFS (The same as 3, if you do not have networking)

#   3 - Full multiuser mode

#   4 - unused

#   5 - X11

#   6 - reboo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

id:<변경될 부분>:initdefault:


반응형
반응형




1. RPM이(Red Hat Package Manager)란?

 + 원래 레드햇에서 사용되었던 패키지 파일.

 + 프로그램 패키지의 설치 및 제거의 관리를 편하게 하며 GNU의 GPL에 의해 배포되는 자유 소프트웨어

 + 확장자가 rpm으로 되어있으며 rpm 명령어로 쉽게 설치, 검색, 업데이트

 + SRPM은 RPM 소스, 확장자는 보통 "*.src.rpm". RPM은 SRPM을 각각의 아키텍쳐에 의해 패키징한 파일.


2. rpm파일 이름 구조

centos-release-6-4.el6.centos.10.x86_64.rpm


 + 패키지 이름 : centos-release

 + 패키지 버전 : 6

 + 릴리즈번호 : 4

 + 배포버전 : el6

 + os : centos

 + 아키텍쳐 : x86_64

                  (noarch : 모든CPU)


3. rpm 명령어 사용법

 # rpm <옵션> <패키지>


 + rpm -I : rpm 설치

 + rpm -U : 이미 설치된 패키지 업데이트 혹은 없으면 설치

 + rpm -v : 설치 정보 출력(verbose 모드)

 + rpm -e : 패키지 삭제(의존성 무시 : --nodeps)

 + rpm -qa : 모든 패키지에 대하여 질의

 + rpm -qi : 패키지 이름, 버전, 설명 정보 출력

 + rpm -qR : 현재 패키지가 의존하는 패키지 목록 출력

 + rpm -ql : 패키지 안의 파일 출력

 + rpm -qd : 문서 파일만 출력

 + rpm -qc : 설정 파일만 출력

 + rpm -qf : 이미 설치된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속한것인지 질의

 + rpm -qpl : 설치되지 않은 패키지 파일안의 파일들을 출력

 + rpm -qpi : 설치할 패키지 파일의 상세 정보를 출력


4. rpm 전체 해제 하는 방법

 # rpm2cpio <rpm파일> | cpio -idv



반응형
반응형








버추얼 박스에 Fedora 18을 설치하고 게스트 확장을 설치하려 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아래 에러 로그는 /var/log/vboxadd-install.log에서 다시 확인 가능하다.


 *** Error: unable to find the sources of your current Linux kernel.



 해결을 하기 위해서는 gcc, dkms, kernel-devel 패키지를 설치한후 다시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 yum install gcc dkms kernel-devel



 세 패키지를 설치한 후에 재 시도하면 모두 정상적으로 설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집에 친척 동생도 오고... 동생도 오고... 내 컴퓨터는 이것도 저것도 깔리고... 

 그냥 리눅스 깔고 윈도우 이미지를 여러개 떠놔서 친척들 올 때마다 이미지로 vm을 열어줘야 되겠다.

 부팅 디스크를 만들려 하는데 정품은 못쓰고... 오픈소스 뭐 있나 찾아보다보니,

 Fedora, CentOS Bootable USB를 만들어 주는 오픈소스를 찾았다. 아래에 주소...


  http://iso2usb.sourceforge.net/


 







반응형
반응형








아이폰 5를 최근에 구입을 한 후 출/퇴근에 서서 갈 경우 볼 동영상을 넣으려 하는데, 인코딩 메뉴에 아이폰 5가 없더군요. 팟인코더를 저는 주로 인코딩하려고 하는데, 팟 인코더를 이용하여 아이폰5의 인코딩을 하는법을 이리 저리 찾아본 결과를 정리해 놓으려 합니다.




일단 인코딩 옵션에 적절한 옵션을 선택합니다. 저는 "애플 > IPhone4 고화질(AVC) VBR"을 선택을 했습니다. 

저희가 인코딩 할 때 할 방법은 아이폰 5에 맞게 사이즈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아래의 세부 설정을 클릭합니다.




세부 설정을 클릭하면 인코딩 옵션 > 화면 설정 메뉴에 화면 크기를 사용자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있는데, 여기서 선택을 해야 하는 것이 "화면 비율 유지"를 클릭하셔서 비율이 틀어져서 이상하게 동영상이 플레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폰5의 화질인 1136x640에 맞게 입력을 하고 확인을 누른 후 인코딩 시작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간단하죠?^^




반응형
반응형







 블로그 보면 아래의 사진처럼 그냥 단순히 하얀 접힌 종이로 되어있죠. 제 블로그가 그러면 그 블로그를 포스팅하는 블로거는 약간 꾸미고 싶은 충동을 느낍니다. 저도 오늘 갑자기 그런 충동을 느껴서 아이콘을 삽입해 봣는데, 참 만족 스럽습니다.^^

 여기에서 파비콘(Favicon)이란 Favorite + Icon의 합성어로서 파비콘 이미지를 삽입할 시에는 즐겨찾기에 삽입한 이미지가 즐겨찾기에 앞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썰렁하죠. 이렇게... 




아이콘을 만듧니다 이렇게...



 단순히 ico로 확장자를 변경한다고 해서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아이콘을 ico로 변환을 하기 위해서, convertico 사이트에 접속하여 아이콘을 변환을 합니다. 사이트 접속 후 변환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웹사이트 URL을 통해 변환을 하거나, 파일을 직접 업로는 하는 방식으로 변환을 할 수 있구요, GO버튼을 누르면 변환이 됩니다. 그 이후에 파란색 상자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아이콘 변환 사이트 : http://convertico.com/



 

 변환 후에는 "admin > 환경서리정 > 기본 정보 > 아이콘" 메뉴에서 아이콘과 파비콘 이미지를 삽입해 줍니다. 아이콘 메뉴는 ipg, gif, png 파일 형식이 업로드 가능하구요, 파비콘 메뉴는 ico 파일이 업로드 가능합니다.




 변환 후에는 위와 같이 아이콘이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변경 후에 새로고침으로 해도 안될 경우에는 브라우저의 캐쉬를 모두 삭제를 한 후에 다시 새로고침을 하면 삽입한 아이콘이 적용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