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대 설정을 하지 않으면 성능적인 차이를 보임.

다만 실제 사용되는 코어 갯수는 확인을 해봐야함.

코어가 두개만 돌고 있을 경우 NVidia Desktop(GUI)에서 우측 상단에 보면 코어 갯수 설정 모드에서 실제 동작 코어 갯수를 동작 시킬 수 있음

현재 사용되는 코어는 top으로 process 갯수를 확인해도 되고 ,

tegrastats 으로도 확인할 수 있음

$ sudo nvpmodel -m 0
$ sudo jetson_clocks
$ (/usr/bin/jetson_clocks)

 

반응형
반응형
  1. Caffe docker 설치
    GPU 버전의 Caffe와 같은 경우 nvidia-docker 플러그인이 추가적으로 설치 되어 있어야 함
    $ docker pull bvlc/caffe:cpu // CPU only
    $ docker pull bvlc/caffe:gpu // GPU only(cuDNN Caffe)

  2. CUDA 설치
    CUDA 및 cuDNN 라이브러리 관련 docker 이미지 및 docker shell 실행
    $ nvidia-docker pull nvidia/cuda:8.0-cudnn6-devel-ubuntu16.04
    $ nvidia-docker run -it -v /data:/data nvidia/cuda:8.0-cudnn6-devel-ubuntu16.04 /bin/bash --name myname

  3. Caffe 빌드에 필요한 패키지 설치(docker 내 sudo 권한 필요없음)
    첫 실행시 업데이트 정보 최신화
    $ apt-get update;apt-get upgrade
    $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cmake libblas-dev libboost-all-dev libprotobuf-dev libgoogle-glog-dev libgflags-dev libhdf5-dev libhdf5-serial-dev libopencv-dev liblmdb-dev libleveldb-dev libsnappy-dev protobuf-compiler libatlas-dev libatlas-base-dev git

  4. Caffe 소스코드 다운로드
    $ git clone https://github.com/bvlc/caffe /data/caffe
    $ cd /data/caffe && git checkout tags/1.0
    $ cp Makefile.config.example Makefile.config

  5. Makefile에서 cuDNN 설정

    # cuDNN acceleration switch (uncomment to build with cuDNN).

    USE_CUDNN := 1

  6. caffe 빌드 및 설치
    $ mkdir build
    $ cd build
    $ cmake ..
    $ make all
    $ make install

반응형
반응형

 

MacOS를 업데이트 하려는데 

"MacOS XXXX 설치.app 복사본이 손상되었기 때문에 MacOS를 설치하는데 사용할 수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다시 업데이트 버튼을 눌러도 같은 오류 메시지만 나오고 방법이 없다.

 

그럴때에는 Finder를 열고 좌측에 응용 프로그램을 열어서

찾기로 "macos" 라고 찾으면 "MacOS <Version> 설치.app"이라는 파일이 나온다.

 

해당 파일을 삭제 후에 환경 설정에서 다시 업데이트 버튼을 누르면 다시 다운로드 부터 시작 하게 된다.

다만 이상한 점은 다운 받은건 8기가가 넘는데 해당 응용프로그램은 1.8메가라는 사실...

다운로드 받은 8기가는 어떻게 되는건지는 모르겠다.

반응형
반응형

pyinstaller를 통해서 Python Script를 Executable Binary로 변환할 수 있다.

 

1. 설치 방법

>> pip install pyinstaller  


2. pyinstaller로 Python Script를 Binary로 변경

>> pyinstaller --onefile <filename>.py 

 

3. 실행 결과

  • "__pycache__", "build", "dist" 등의 폴더가 생기고 "<filename>.spec"등의 파일이 생성된다.
  • dist 폴더 안에 exe 파일이 생성되어 있다.

 

4. Console Message가 출력되지 않는 바이너리 만들기

>> pyinstaller --onefile --noconsole <filename>.py



5. 실행 파일 아이콘 넣기

>> pyinstaller --icon=<icon filename>.ico --onefile --noconsole <filename>.py 



6. icon image converting site

https://icoconvert.com/

 

반응형
반응형

 

 

 

  내부 SSL Inspection 솔루션 등을 사용할 경우 중간 인증서가 변경되기 때문에 pip를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Retrying (Retry(total=4, connect=None, read=None, redirect=None, status=None)) after connection broken by 'SSLError(SSLError(1,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_ssl.c:833)'),)': /simple/pyqt5/
Retrying (Retry(total=3, connect=None, read=None, redirect=None, status=None)) after connection broken by 'SSLError(SSLError(1,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_ssl.c:833)'),)': /simple/pyqt5/
Retrying (Retry(total=2, connect=None, read=None, redirect=None, status=None)) after connection broken by 'SSLError(SSLError(1,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_ssl.c:833)'),)': /simple/pyqt5/
Retrying (Retry(total=1, connect=None, read=None, redirect=None, status=None)) after connection broken by 'SSLError(SSLError(1,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_ssl.c:833)'),)': /simple/pyqt5/
Retrying (Retry(total=0, connect=None, read=None, redirect=None, status=None)) after connection broken by 'SSLError(SSLError(1,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_ssl.c:833)'),)': /simple/pyqt5/
Could not fetch URL https://pypi.python.org/simple/pyqt5/: There was a problem confirming the ssl certificate: HTTPSConnectionPool(host='pypi.python.org', port=443): Max retries exceeded with url: /simple/pyqt5/ (Caused by SSLError(SSLError(1,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_ssl.c:833)'),)) - skipping
Could not find a version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 pyqt5 (from versions: )
No matching distribution found for pyqt5

 

 


  아래와 같은 오류가 출력되며 pip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럴경우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 대해서 옵션으로 설정하여 SSL인증을 사용하지 않고 pip를 사용할 수 있다.

>> pip --trusted-host <site name> <pip option> <pip option parameter>

 

 

 

pyqt5를 설치하는데에는 아래의 경로를 등록하여 사용하였다.

>> pip --trusted-host pypi.python.org --trusted-host pypi.org --trusted-host files.pythonhosted.org install pyinstalle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