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에서 편하게 쓸만한 키보드를 찾고 있었는데, 뒤늦게 레이니75를 구입했다. 가성비가 좋다라고 표현하면서도 이 가격에 풀알루미늄 키보드에 스테빌도 잘 잡혀있고, 구성 및 키감도 너무 좋다고 해서 구입해봤다.
옵션
상옵 블루로 구매를 했다. 자세한 것은 유투브에 많이 설명이 되어 있으니... 근데 상옵은 키압이 퍼플축에 비해 10g정도 작은 35g으로 알고 있는데, 생각보다 너무 가벼우면서도, 항상 45g+를 사용하던 입장에서는 의외로 가벼우면서 약간 쫀쫀한게 느낌이 꽤 괜찮다. 주로 무선으로 사용하고 싶었기 때문에 배터리는 가장 많은 것으로 샀다. 양쪽에 배터리가 들어가는 구성이라 무계를 양쪽에 적절히 하기 위해서도 2개가 들어간 상옵으로 구매를 하는게 낫다고 판단됬다. RGB 모델로 구매를 하였으나, 무선을 주로 사용하고 싶어서 RGB는 끄고 사용한다. 다만, RGB를 보고 싶을 때에는 유선을 연결해서 가끔 충전하면서 본다.
맥에서 사용하기
VIA를 이용한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을 처음 해봤는 진짜 편리하다. 기본적으로 mac을 사용하기 위한 cmd,opt 키를 설정하였고, 개발할때 주로 사용하는 capslock과 left ctl의 위치를 변경하였다. 다만 mac fn키를 via를 통해서 mapping 하는 것이 아무리 찾아봐도 불가능해 보인다.
2.4G가 초저지연 연결이라서 사용하려고 했는데, 맥 사용자는 공감할지 모르겠지만, 윈도우에 비해 전원 완전 종료를 하지 않고 슬립모드로 쭉 써도 컴퓨터에 크게 문제가 없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없지 않은 경우 슬립모드로 쭉 사용한다. 근데 이 2.4G연결은 슬립모드에서 로그인을 하면 키보드가 연결이 안된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처음에는 키보드가 문제가 생겼는 줄 알았고 usb를 빼고 다시 꽂으니 정상 동작이 되는데, 로그아웃하고 슬립모드로 들어간 뒤 다시 로그인을 하면 다시 연결이 되지 않는다. 블루투스로 연결시 해당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게임을 하지 않아서 그런지 블루투스 모드에서도 크게 느린 부분을 잘 모르겠고, 타이핑이 빠른 축에 들지만 느린 것은 체감이 되지 않으므로 블루투스로 연결해서 현재 사용중이다. 물론 Karabiner로 하는 fn키는 다시 모든 계정마다 재 설정을 해줘야 한다. 블루투스 연결시 새로운 키보드이기 때문에...
맥에서 커스텀 키보드를 사용하려고 할 때도 있고, 일반 윈도우 레이아웃의 키보드를 사용해야 될 수도 있고, 맥의 공식 키보드를 사용하더라도 한영키의 딜레이를 막기 위해서도 키 맵핑은 필요하다
Karabiner
맥 키보드 레이아웃 맵핑 프로그램으로 사용하기 유용하다.
https://karabiner-elements.pqrs.org/
구성
Karabiner elements 와 Karabiner event viewer 두개가 있다.
Karabiner event viewer
맵핑하고자 하는 키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게 유용한게, Custom keyboard는 거의 윈도우를 중점으로 만들어져 있는지, 맥의 fn키를 설정할 수 없거나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Via와 같은 경우 fn키를 확인할 방법도 적용할 방법도 없었다)
Karabiner elements
필자와 같은 경우 Via는 키보드의 Firmware에 설정이 가능하니 컴퓨터나 OS의 Dependency가 없으니, 맥과 개인적인 layout을 설정하고, 사용할 수 없는 fn키만 Karabiner로 설정을 했다.
장점
상세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키보드 별로 설정을 해서 다른 레이아웃의 키보드에 영향이 없게끔 할 수 도 있다. Special key도 설정할 수 있어서, 맥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흔히 쓰는 F13키로 한/영키로 변경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딜레이도 없고 정말 편리하다. 전역 설정도 가능하다(근데 전역 설정을 할 경우 모든 키보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맥의 기본 키보드에서는 정상적으로 쓸 수 없어서 잘 쓰지 않는다).
단점
이건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Hooking해서 다른 키로 SW를 통해 인식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컴퓨터를 연결하거나 OS를 바꾸거나, Account를 바꾸게 되면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에 Karabiner 를 설치하고, 해당 키보드에 설정을 다시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필자와 같은 경우 재택 업무용 계정, 홈 계정, Window OS도 설치가 되어 있는데 모두 재 설치/설정을 해야 하는 부분은 불편하고, 만약에 컴퓨터를 바꾸게 될 경우 키보드에 대한 설정들을 다시 다 해줘야 하는 부분은 불편하다.
Spot Light에서 "boot camp assistant"실행 -> 상단 동작(혹은 Action) -> Windows 지원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 위치 설정 및 Download
순서
1. VMware 설치
- Trial Version 선택
2. Windows 를 VMware 에서 설치
- 설치된 VMware 실행
- Install from disc or image 에 Download한 Win10 이미지를 Drag & Drop
- Continue를 선택하여 Windows 가상 이미지 설치
+ 만약 "Could not open /dev/vmmon : 파이프 연결 해제됨." 메시지가 뜰경우, 시스템 환경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 일반 -> 개발자 'VMware, Inc.'의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차단되어 로드될 수 없습니다.' 에서 허용을 클릭함(하단의 변경 자물쇠 클릭 및 관리자 권한 인증 필요)
3. VMware 에서 Windows 가상 이미지를 실행
- WinToUSB.exe를 가상 이미지에 Drag & Drop
- WinToUSB를 실행함
4. 외장 SSD 설치 준비
- 연결
- Spot Light으로 Disk Utility를 실행
- Erase-> APFS 혹은 Mac OS Extended(Journaled)를 선택 -> Erase로 디스크 포멧
4.1 만약 5에서 Efi가 보이지 않을 경우(다시 커맨드로 삭제해야함)
+ Spot Light에서 Terminal
+ diskutil list로 외장하드 번호 확인(disk번호)
+ diskutil erasedisk free <아무이름이나> disk(번호)
+ 다시 4번 처음부터 Erase 수행
5. 외장 하드 연결 설치
5.1 남은 파티션 처리
- 시작 -> 파일 탐색기 -> 좌측 내 PC에서 우클릭 -> 관리 -> 디스크 관리
- 하단의 Disk 1(자신이 연결한 와장하드) 와측에 200MB 크기의 정상(EFI 시스템 파티션)이 보여야함
- 우측의 나머지 파티션 우클릭 "볼륨 삭제" 클릭
- 검은색의 "할당되지 않음" 에서 우클릭 -> 새 단순 볼륨 선택 -> next -> next -> ... 원할시 이름 변경 -> Finish
5.2 이미지 외장에 설치
- WinToUSB 실행
- 상단 Virtual Machine -> CD/DVD(SATA) -> Choose Disk or Disc Image 선택
- Win10 이미지 파일 선택
- 상단 Virtual Machine -> CD/DVD(SATA) -> Connect CD/DVD 선택
- WinToUSB 에서 CD/DVD에서 오른쪽의 초록색 새로고침을 누르면 이미지 선택 가능
- 설치하고자 하는 윈도우 선택 후 Next
- 대상 디스크에 설치할 외장 USB 선택
+ "만약 선택한 장치는 포멧해야합니다. 어쩌구 저쩌구" 메시지 출력시 "기존 파티션 구성표 유지" 선택
- 상단은 좌측 "EFI..." 선택, 하단은 오른쪽 선택
- 설치 방식은 "레거시" 선택 후 다음 선택
- 설치 완료 후 exit
- 파일 탐색기 실행
- 설치한 외장하드 디스크 선택
- Windows Support 폴더(Boot Camp Assistant로 다운받은 폴더)를 해당 디스크에 Drag & Drop으로 복사
- VMware 종료 및 재부팅
6. 재부팅 후 윈도우즈 설치
- 재시작 후 키보드의 "Option"키를 누르고 있음
- "EFI Boot" 이 보여야 함. 선택.
- 설치 중 재부팅 시 "Option"키를 누르고 있어야 함.
- 다시 "EFI Boot"을 선택함.
- 맥북과 같은 경우 키보드, 패드가 먹히지 않을 수 있어서 별도의 USB 키보드 마우스가 필요함.
- 설치 완료 까지 진행함.
7. Boot Camp 소프트웨어 설치
- 기본적인 파티션인 C:\에서 복사해둔 "WindowsSupport"경로->BootCamp->Setup.exe 실행
- 만약 Boot Camp설치 중에 검은 화면 등으로 설치가 진행이 안될 경우 연결된 USB모두 제거 후 다시 시도